[출근길 인터뷰] 오늘은 '독도의 날'…독립운동가들과 독도 알리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10월 25일, 오늘은 '독도의 날'입니다.<br /><br />독도가 대한민국 영토임을 널리 알리고 독도 수호 의지를 세계 각국에 알리기 위해 지정한 날입니다.<br /><br />오늘 출근길 인터뷰에서는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의 박기태 단장 만나 일본 정부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맞선 활동들에 대해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화요일 출근길 인터뷰는 박기택 단장을 만나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안녕하세요?<br /><br />[박기태 /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 단장]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오늘은 독도의 날인데요. 왜 10월 25일이 독도의 날로 정해진 건가요?<br /><br />[박기태 /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 단장]<br /><br />100년 전이죠. 1900년도 10월 25일에 고종황제가 독도를 울릉도에 속한 섬이라고 발표했습니다, 칙령이죠. 이걸 계기로 해서 최근 일본의 역사왜곡이 심해지잖아요. 그래서 독도 소재 단체가 독도의 날을 10월 25일로 기념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반크는 그동안 독도에 대해서 바로알리기 위해 노력을 해왔는데요. 올해는 특별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고요.<br /><br />[박기태 /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 단장]<br /><br />일본의 독도 왜곡은 일본 교과서에 멈추지 않습니다. 즉 일본이 초중고 교과서에 독도가 일본 땅인 내용을 전 세계로 확대시키고 있어요. 특히 해외 초중고교 시에 쓰는 교과서와 재외교과서에서 독도가 다케시마가 되어 있고 동해가 일본해로 저는 그래서 저것은 전 세계 동포들과 함께 수업시간 교실에서 반크사이트에 접속만 하면 스마트폰과 연계가 되어서 VR로 가상현실 속에서 독도가 튀어나와서 누구나 쉽게 자기네 공간에서 독도를 세계에 알리는 전시관을 세우고 있고요.<br /><br />더 나아가서 지금 일본이 전 세계 초중고교에 독도가 일본 땅이라는 세계지도를 배포하고 있습니다. 그래서 독도가 우리 땅이라고 되어 있는 대형 세계지도를 각 나라 학교마다 배포하고 있어서 저희는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것뿐만 아니라 독도를 소개함과 한국의 역사 소개하는 자료를 150만부 인쇄를 해서 반크 회원들이 해외 나갈 때마다 또 온라인상에서 세계 교실마다 독도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외국 언론이나 기관 자료에 독도가 다케시마로 또 동해가 일본해로 잘못 표기된 사례가 지난 5년간 무려 수천 건에 달하는데요. 이 부분들이 잘 시정되고 있는 건가요?<br /><br />[박기태 /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 단장]<br /><br />이 부분은 우리가 먼저 시간 싸움에서 밀렸습니다. 즉 일본이 100년 전부터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기 전부터 일본은 침략을 합리화하기 위해서 전 세계에 가짜뉴스를 퍼뜨렸어요. 그래서 해외외교관들에게 다양한 소식을 전파했는데요. 이렇게 일본이 100년 전부터 통보했던 결과가 지금 전 세계 수많은 교과서에 드러나는 것이고 이런 교과서 내용이 지금 IT로 확산되고 있는 거거든요.<br /><br />그래서 우리가 좀 늦은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또 우리나라가 IT 대국이고 전 세계 1억 5000만 한류팬이 있지 않습니까? 반크가 그래서 20년 동안 각 나라 출판사 한 1000군데 대상으로 동해가 일본해 표기된 부분과 독도 다케시마 부분에 대해서 전격적으로 시정을 했는데요. 20년 만에 20년 만에 동해 표기 3%에서 무려 40%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한계가 있는데요. 영어권 중심에서 성과가 있었지만 프랑스어, 스페인어, 동남아시아, 수많은 나라들의 언어로는 아직 한계가 있어서 지금이라도 모든 한국인들의 힘을 모아서 전 세계 초중고 교과서에 특히 수많은 외국인들한테, 더 나아가서 1억 5000만 한류팬들에게 독도는 한일 간의 영토 갈등 섬이 아니라 일본의 침략을 부정하는 일본의 역사왜곡이라는 것을 증명하도록 홍보해야 될 것이고요. 더 나아가서 독도를 지키기 위해서 우리 활동을 통해서 일제강점기 때 활동했던 독립운동가들의 활동내용을 홍보하는 게 필요하고요.<br /><br />특히 독립운동가들을 소개하면서 외국인들도 있었습니다. 그래서 1억 5000 한류팬들에게 100년 전 우리와 함께 싸웠던 외국인 독립군들처럼 이들 또한 한국을 위한 독도를 지키는 데 동참해달라고 호소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일본은 독도를 자기 땅이라고 우기면서 독도를 다케시마라고 부르고 있는데요. 일본의 독도 영유권에 대응하기 위한 어떤 노력들이 필요할까요.<br /><br />[박기태 /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 단장]<br /><br />기본적으로 일본 정부의 잘못된 논리를 깨야 되는데요. 1877년도에 일본 최고 정부기관이죠. 태정관에서 독도가 일본 땅이 아니라고 발표했습니다. 이런 기본적인 소식을 전 세계에 동시에 너무 좋은 게 지금 과거에는 우리 한국보다 일본이 훨씬 더 유명했어요. 그래서 한국인들이 말하는 것보다 일본이 더 많은 사람들의 목소리가 컸는데요. 지금은 대중문화 한류 때문에 수많은 외국인들이 한국의 목소리를 듣고 있습니다. 특히 K팝 팬들도 너무 많고요.<br /><br />무려 1억 5000만의 팬들이 있으니까 1억 5000만의 팬들한테 이 독도 문제가 왜 중요한지 독도가 한일간의 영토문제가 아니라 아시아 평화를 향해서 우리 한국인들의 다짐이라는 거, 그런 부분에 대해 홍보를 해서 이번 기회에 전 세계인들한테 독도문제가 한일 간의 갈등 문제를 넘어서 동아시아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 우리 한국인들이 100년 전 독립운동가의 꿈을 계승하고 있다는 부분을 홍보할 필요가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오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. 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